킬롤로지 (KILLOLOGY)
알란 - 이석준 / 폴 - 김승대 / 데이비 - 장율
- 너 기억나? 그 개.
데이비와 알란이 공유할 수 있는 가장 큰, 혹은 유일한 기억. 메이시.
알란의 상상 중에 어쩌면 가장 나은 모습을 가지고 있는 데이비일 수도 있겠구나.
그래서 믿지 못하고 '그 개'에 대해 이야기하는 거 아닐까.
데이비가 메이시의 이름을 정확히 말하니까 안도하는 듯 얼굴을 쓸어내리는데
내가 만들어 낸 내 데이비가 맞구나, 나의 데이비구나.
하는 느낌이라서 만감이 교차했다.
- 별을 향해. 내가 결코 닿을 수 없는 곳으로.
데이비가 '별을 향해'라는 대사를 할 때, 무심코 다른 배역들을 봤는데.
알란은 여전히 상상 속 데이비를 보고 있었고,
폴은 별을 보고 있었다.
자신이 향할 수 있는 것처럼 그 별을 향해 발을 뻗었다.
공평하지 않은 삶에서 자전거의 살에 박힌 플라스틱 다이아몬드만 반짝거릴 뿐이었던 데이비.
세상 그 모든 가능성을 손에 쥐고 태어나 별을 향할 수 있다는 꿈을 꿀 수 있었던 폴.
마지막까지 그 둘의 대비 때문에 가슴이 아팠다.
PAUL
폴이 아버지에게 가진 감정을 사실 '애증'이라는 단어는 표현할 수는 없다고 생각하면서도,
이 단어만큼 가장 가까운 느낌의 말이 있을까, 라는 생각을 한다.
이 극에서 폴이 가지고 있는 무게가 사실은 더 굉장하구나, 를 깨달았다.
3대에 걸치는 폭력의 대물림과 연대에 관한 이야기를 가장 현실적으로 풀어내는 사람.
에단에게 손을 올렸다가 내렸을 때, 폴이 진짜로 에단을 때렸는지는 알 수 없지만.
이집트에서의 자신과 겹쳐 보이는 그 모든 순간 아버지의 마음을 분명 깨달았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.
폴의 아버지가 말한 연대의 의미를, 누군가의 슬픔을 조롱한다는 것을.
아버지이자 보호자, 사회 구성원들이 무언가를 지키기 위해 하는 그 연대를.
폴은 에단을 보내며, 보호자이자 책임자라는 말의 무게를 짊어지고 있는 이들을 조롱한다는 것을.
끝까지 아버지가 말한 연대를 하지 못하는 게 씁쓸했다.
*
폴이 아버지가 죽을 때 하는 그 대사들이, 너무나 많은 접점이 있는 것 같은데
그 상실의 감정에, 아버지의 부재라는 그 감정에 울컥한 배우 때문에 나도 덩달아 울컥해서.
폴이라는 인물을 영영 이해하지 못할 거라고 생각했는데, 그 감정으로 설득되어 버린 이 날을 잊지 못할 것 같다.
현실의 데이비와 알란의 상상 속 데이비의 간극이 크면 클수록
알란의 상상이 슬퍼지고, 공평을 묻는 망가지기 직전의 데이비가 너무 아프다.
데이비의 행동이 이해되고, 데이비가 처한 상황이, 그 사회가 극과 현실이 다르지 않아서 너무 씁쓸했다.